애드센스 수익금의 지급금액의 한도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를 하겠습니다. 애드센스 수익금은 기본값으로 100달러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목차
애드센스 수익금 지급금액 한도 올리는 이유
기본값인 100달러를 간신히 넘는 수준에서 애드센스 달러를 받게 되면 우리나라(한국)의 외화통장으로 달러를 받게되면 적어도 10,000원의 수수료를 내야합니다.
쉽게 말해서 달러를 원으로 계산하여 설명해보겠습니다.
한달에 애드센스 수익으로 13만원 정도를 벌고 있습니다. 그리고 100달러 기준을 13만원으로 계산한다면 매달 13만원이 내 계좌로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한국) 달러 통장의 경우에는 달러가 들어올때 수수료를 냅니다. 그 수수료는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사용하고 있는 SC제일은행 기준으로 1만원을 냅니다.
따라서 13만원의 애드센스 수익에서 1만원을 수수료로 지불을 합니다. 그리고 제 통장으로 입금되는 애드센스 수익금은 12만원이 됩니다.
자 그러면 생각을 해봅시다. 애드센스 수익이 많지 않고 블로그를 꾸준히 할거라고 생각을 해본다면 말입니다.
13만원, 14만원 이렇게 받는데 매달 1만원이 빠진다고 하면 이 수수료가 좀 쌔다는 생각을 할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13만원을 받는것이 아니라 애드센스 수익금에서 일단 홀딩을 하는거죠. 그래서 13만원만 넘겨서 수익금으로 받기보다는 거기에 2배를 곱하여 200달러를 기준으로 받는다면 수수료 1만원을 아낄수 있는 셈입니다.
애드센스 수익으로 월급외 매달 50만원 이내로 벌고 있다면 매달 애드센스 수익으로 받을 필요는 없는것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받을때 마다 1만원의 수수료를 내야하니깐요.
- 52만원을 한번에 받으면서 1만원의 수수료 내기(13만원*4달)
- 13만원을 매달 받으면서 총 4만원의 수수료 내기
쉽게 계산을 해본다면 4달동안 애드센스 수익을 받는다고 했을때 매달 1만원의 수수료를 내면서 소액을 받을것인지, 아니면 어짜피 13만원 받는다고 크게 달라지는것은 없으니 좀더 모았다가 받으면서 1만원의 수수료만 낼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애드센스 지급 금액 한도 올리기
애드센스 지급 금액의 한도를 올리는 방법은 아래의 순서대로 하면 되겠습니다.
-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 접속
- 왼쪽 메뉴에 [지급] 클릭
- [지급정보] 클릭
- 로딩이 조금 걸림
- [지급] 페이지에서 설정을 클릭
- 자신이 생각하는 금액으로 변경
저의 경우 100달러를 기준으로 받고 있었습니다. 매달 1만원의 수수료가 지불이 된 셈인데요. 15만원에서 1만원이 빠져나가는것을 계산해보니 수수료가 비싸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15만원을 받는다고 해서 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것도 아니고 당장 안받아도 되는 돈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도 점점 떨어지고 있구요.
매달 애드센스 수익을 받지못하는 즐거움은 없겠지만 잔고에 달러가 모여있는 느낌은 있을것 같습니다.



애드센스 지급 금액 한도를 올리면 안된다는 의견
애드센스 지급 금액의 한도를 올리면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저는 참고로.. 2020년부터 티스토리를 시작하여 3년간 티스토리를 했고 지난 1년간 워드프레스를 하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계정은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를 따로 구분하여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애드센스 지급금액의 기준은 100달러로 설정을 하였구요.
지급 금액 한도를 올리면 혹시라도 애드센스가 해지가 되어 그동안 모아두었던 달러가 날아갈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고 하는데요. 저는 글쌔요?
저는 이 의견에 반대를 한다. 벌써 횟수로 3~4년차에 해당하고 블로그에 정보를 올리는 글을 꾸준히 쓴다면 애드센스가 해지가 절대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애드센스 광고 게재가 중단이 된적은 있지만 이것도 티스토리에서 광고를 넣기 시작하면서 발생한 일이며 그동안 그럴일 없다는 것이고, 만약 해지가 될정도라고 한다면 포스팅의 글의 주제가 구글 애드센스의 규정을 벗어난 행동을 하겠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사실 애드센스가 해지가 된다면 연결된 블로그의 애드센스 승인도 없어지는것과 같습니다. 그동안 벌어놓은 달러가 날아가는것이 손해이겠지만 그동안 공들여 키운 블로그도 날아가는것이기 때문에 구글 애드센스 규정을 벗어난 방식으로 하는 운영은 위험합니다.)
뭐 그건 알아서 결정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매달 1만원을 내고 애드센스가 들어오는 즐거움을 택할것인지, 아니면 소액 얼마 되지않는거 그냥 묵혀두는게 좋을지 말입니다.
은행별 수수료 알아보는 방법
애드센스가 들어오는 수익금은 은행에서 달러를 받을때 수수료를 떼고 우리의 계좌로 넣어줍니다. 그리고 외환(달러)가 들어오는 수수료를 알아보려면 검색창에서 ‘타발송금 수수료’ 를 검색하면 됩니다.
보통의 은행들의 타발송금 수수료는 10,000원입니다. 저는 참고로 스탠다드차타드은행으로 달러를 받고 있습니다.
수수료 정보는 여기를 클릭하시면 볼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