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수익 인증 믿지 말아야 하는 이유 (유료 강의 과대 광고)

애드센스 수익 인증 믿어야 할까? 우리는 다른 누군가의 수익 인증을 믿게 된다. 아무래도 믿고 싶기 때문이다.



일단은 숫자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월 500만원, 월 600만원 같은 광고문구 같은 것이다.



우리는 인스타의 사진 한장으로 그 사람의 배경을 이해한다. 하지만 인스타의 사진은 많은 컷과 편집 기술이 가미되었고 작은 프레임에 정해진 부분만 화려하다.


실제로 나머지 뒷배경에는 어떠한 모습이 있는지 우리는 알수가 없다. 인스타를 보게되면 불행해지는 것 처럼 애드센스 수익 인증을 보면 괜히 비교당하는 느낌, 괜히 처지는 느낌, 강의를 들으면 좀 나아질까? 하는 기대감 마저 불러일으킨다.










애드센스 수익 인증 믿지 말아야 하는 이유


어제 유튜브에 올라온 아OO티비의 애드센스 수익 인증을 살펴보았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 의심이 들었다.

  • 페이지뷰 5.24만
  • 페이지 RPM 90달러
  • 노출수 7만
  • 클릭수 5.56천
  • CPC 0.85달러
  • 페이지 CTR 10.6%


이 수익 인증은 아OO 사이트에 수익 인증방에 올라온것을 선별하여 유튜브로 보여주었다. 검색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아래의 수치들은 28일의 기간동안이며 약 한달의 기간이라고 보면 된다. 대략 한달간 5만 2,400만의 페이지뷰는 하루에 조회수가 1,800건이 된다는 뜻이다.

페이지 RPM 90달러는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를 뜻하는 것으로

(예상수입(A) / 5.24만페이지뷰) *1000= 90달러라 는 뜻이다. 이 식을 곱해보면 예상수입(A)는 4,716달러가 나온다.

노출수 7만의 뜻은 28일간 광고가 노출된 횟수를 말한다. 페이지뷰가 5.24만인데 광고노출이 7만이면 1페이지에 광고를 1~2개만 넣는다는 뜻이 된다. 이럴수가 있나?

7만 나누기 5.24만이면 1페이지에 광고를 1.3개만 노출한다는 뜻이다. 애드센스 광고를 1.3개만 노출하는것 같다.

전면광고 빈도수도 1분에 1회로 바꾸는것이 트렌드인데 1.3개면 무슨 기술을 사용하는지 좀 궁금하다.

클릭수는 광고를 클릭했다는 뜻으로 5.24만건의 페이지뷰, 5.56천의 광고클릭을 했다는 뜻이다. 따지면 10명중에 1명은 무조건 클릭을 했다는 뜻이다.

그래서 페이지 CTR이 10.6%이다. 10%는 아주 높은 CTR이다. 해외 구글 애드센스 포럼에서 확인해보았을때 컨텐츠와 광고가 잘 섞이며 높은 클릭률을 갖고있는 블로그가 3~5%의 CTR이 된다고 한다.

8~12%의 CTR을 받는 블로그는 거의 없으며 있다면 아주 희귀한 블로그, 틈새블로그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아무튼 의심되는점은 과도하게 높은 페이지 CTR이다.







강의를 들으면 페이지 CTR이 높아질수가 있을까?


이 수치를 보면서 강의를 듣는다면 몇가지의 효과가 생길것 같다.

  1. 높은 페이지 CTR을 만들수있음
  2. 적은 페이지뷰(조회수)로 수익을 만들수가 있음

근데 조금 궁금한것은 하루에 1700개의 조회수로 한달에 4,716달러를 버는것이 가능할까?

  • 월 5.24만뷰를 28일로 나누어주면
  • 하루 1700건 조회수로 계산됨
  • 4,716달러 / 28일 = 168달러/매일
  • 10건의 조회수 = 1달러
  • 1건의 조회수 = 0.1달러

엄청나게 높은 수치이다. 하루 1,700건의 조회수로 168달러, 즉 21만원을 따박 따박 번다는 뜻이다.

이게 가능한 수치일까? 구글 애드센스에 들어가서 예상수익을 계산해보았다. 아시아 태평양 국가로 주제는 부동산을 했을때 1년에 10,000달러를 벌수있다고 한다.

1년에 10,000달러를 1,300원으로 계산하면, 1년에 1,300만원이며 12개월로 계산을 해보면 약 한달에 100만원으로 계산이 된다.

그렇다는 뜻은 꾸준한 유입자가 확보가 되었으면서 하루에 1700명이 다녀가는 전문 부동산 블로그를 만든다면 한달에 100만원을 벌수가 있다는 뜻이다. 이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제시하는 수익 모델이다.

하지만 아OOTV에서는 애드센스가 제시하는 수익 모델의 6배를 벌수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은 이는 터무니 없는 수익 조작으로 밖에 안보여진다.

100명중에 10명이 광고를 클릭했다는 것. 그것도 1700건의 조회수로 하루에 21만원을 어떻게 벌까? 말도 안되는 수치이다.

그렇다면 1건의 조회수로 123원을 번다는 것인데… 유튜브 1회 조회수가 대충 1원이라는 공식이 있는데 이게 말이 되는건가?

그렇다면 유튜브 보다 훨씬 더 고수익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블로그와 유튜브는 차이가 있다. 유튜브는 대량 유입이 될수있는 기회가 있다.

하지만 블로그는 꾸준한 운영, 선점할수있는 키워드, 사이트 도메인 지수 등 다양한 평가로 검색순위에서 오르게 된다.

내생각엔 결국은 인터넷에 올라오는 인증은 모두 가짜다.



아래 사진은 구글 애드센스에 접속하면 예상 연수익을 계산할수있다. 그나마 부동산 주제가 광고 수익이 높은 편이다.

애드센스 수익 인증






애드센스 수익 인증의 함정


뭐하러 나 돈 잘버는것을 자랑을 할까? 잘되면 자기 혼자하는게 맞다. 결국 블로그로 돈을 번다를 이용하여 수강생을 만들어서 인터넷 강의를 하는것이 목표인 셈이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누군가 보여주는 수익 인증은 그냥 믿지 않는 것이 좋다. 결국 그 수익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객을 만드려는 도구일 뿐이다.

인스타그램도 똑같다. 누군가 찰나의 찍었던 사진을 보고 우리는 많은 오해를 한다. 하지만 정말 그 인생에 들어가보면 아무것도 아닐수가 있다.

하루에 많은 순간들이 있다. 그 와중에 가장 행복했던 순간, 그 순간을 여러번 편집하여 멋스러운 필터를 거쳐서 올리는 사진이다.

하지만 다른사람은 사진만 보고 그사람이 아주 행복할것이야 라고 추측하고 내 인생에 대해서 한탄한다. 나도 그러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서로를 비교하고 서로를 한탄한다.

인스타를 통해서 상대방과 비교하고 자신을 깎아 내리게 된다는 뜻이다. 결론은 수익 인증이라는것은 조작된 것이고 강의를 들었다고 해서 내가 그렇게 벌수있을것이라는것은 착각이다.

강의를 들었다고 많은 수익을 벌었다면 모두 서울대를 갔을것이다. 결국은 블로그로 돈을 번다는 것은 글을 끈기 있게 쓸수있으며, 다른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만들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자신이 잠깐 무언가에 도전했다가 금방 포기하는 편이라면 강의를 들어도 아무 도움도 되지 않을것이다. 그리고 글쓰기에 흥미가 있더라도 높은 강의료를 지불하고 들어도 당장 수익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생각만큼 이 블로그 세계는 호락호락하지 않다. 꾸준한 성장을 좋아한다. 절대로 급격한 수익을 줄수가 없다. 결국 매일 21만원이 들어온다는 뜻은 어떠한 광고주가 자신의 블로그의 광고에 최소 50만원은 지불한다는 뜻인데… 광고주가 인정할만한 사이트를 운영중인가?




강의를 들으면 나도 될것 같다는 생각


결론으로는 이렇게 생각해볼수가 있다.

  • 하루에 블로그 접속자 1,700명으로도 돈을 벌수있다.
  • 블로그의 주제는 부동산, 법률, 보험, 카드 등을 다뤄야한다.
  • 기본적으로 이 분야의 지식이 있어야 할것 같다.
  • 하지만 이 분야들은 검색 경쟁이 치열하다.
  • 구글 애즈를 통해서 검색 광고를 하는것이 아닐까?
  • 글을 아주 기깔나게 잘쓰고 광고 클릭을 마술처럼 유도한다.


결론은 구글 검색광고를 통해서 상단에 위치 시키고 높은 광고 수익을 유도하는 것이 아닐까?


구글 애드센스 수익 인증을 조작하는 방법은 아주 쉽다. 사이트에서 검사(F12)를 눌르면 쉽게 조작이 가능하다.


수익인증을 진짜 제대로 보려면 그 사람이 바로 옆에 있는 상태에서 구글 애드센스를 켠 상태에서 지켜봐야한다.


근데 누가 자신의 월급 통장을 보여줄까? 보여주는 이유는 다 있다고 생각한다. 수익 인증으로서 다른 목적을 얻기 위함이다.


결국은 수익을 만들어 줄수있는 것은 다른사람의 강의가 아닌 나 자신이다. 유튜브에도 알려진 정보가 많다.


꼭 유료강의가 아니어도 해답이 있다. 지름길을 찾으려다가 오히려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워드프레스 티스토리 수익 비교 (WP가 나은 이유 4가지)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가이드 10가지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