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양도세 계산하는 방법과 수익별 순이익

해외주식 양도세는 연말이 되면 계산을 한번 해보는 것이 좋다. 해외주식 양도세는 250만원까지 공제가 되기 때문이다. 해외주식 양도세 계산하는 방법과 수익별로 순이익을 알아보자.



해외주식 양도세 계산

해외주식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사고 팔아서 수익을 남겼다면 그에 대한 수익에 대해서 양도세를 내야한다.

예를 들어서 1월 5일에 엔비디아 주식을 5천만원어치 샀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12월에 5천만원에 산 엔비디아 주식이 1억원이 되었다.

그럼 수익 실현을 해야하므로 1억원으로 불어난 엔비디아 주식을 모두 매도하였다. 그렇다면 5천만원의 수익을 실현한 것이다. (1억원 – 5천만원 = 5천만원 )

여기에 해외주식 양도세는 250만원을 기본적으로 공제를 해준다. 그리고 22%의 세금을 내야하고 나머지는 내손에 쥐는 순이익이다.


그럼 다시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다.

  1. 1억원 – 5천만원 = 5천만원
  2. 5천만원-250만원(기본공제) = 4,750만원
  3. 4,750만원 * 22% = 1,045만원 -> 세금으로 내야한다.
  4. 4,750만원 – 1,045만원 = 3,705만원 -> 차떼고 포떼고 내 지갑에 들어오는 돈이다.
  5. 결론은 5천만원으로 매수한 엔비디아 주식이 8,705만원으로 되었다.




해외주식 양도세 수익별 순이익 계산표

해외주식으로 매도를 해서 수익을 남겼다면 미리 내년에 얼마나 세금을 내야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다.

아래 표에서는 매도로 인한 수익에 대해서 내야할 세금과 세금을 내고 남은 순이익을 표로 정리하였다.

기본공제는 250만원이기 때문에 수익을 250만원 실현했다면 내야할 세금은 없다. 하지만 그 이상의 금액이 되면 양도세를 22%를 내야하고 거기서 빼고 남은 금액이 순이익이 된다.


해외주식 양도세 계산
해외주식 양도세 수익별 순이익표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 기간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 기간은 1년동안 수익이 발생한 이익금을 다음해 5월 정도에 신고 한다. 예를들면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수/매도로 발생한 수익은 2024년 5월에 신고를 한다.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는 증권사와 연계된 세무법인과 진행된다. 세무법인에서 진행하는 비용은 무료 또는 소액으로 진행한다.

참고로 농협증권(나무증권)은 작년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는 무료로 진행했으며 카카오톡으로 개별 연락이 왔으며 특별하게 신경쓸것이 없었다.

만약 세금신고를 하지 않으면 20% 가산세가 발생한다. 하지만 증권사에서 개별 연락이 오며 어렵지 않게 신고가 진행되므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양도소득세에 맞춰서 주식매도?

흔히 해외주식 양도세 기본공제 250만원에 맞춰서 매도한다는 의견도 있다. 250만원 이상 벌었을때 22%의 세금을 내는것이 아깝다는 의견이다.

이 의견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 세금을 더 많이 내더라도 벌수있다면 더 벌수있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왜 세금을 내야하는것에 두려워 하는지 모르겠다.




‘하따’ 급등락 하는 종목을 매매하는 SOXL 종목 거래 (23년 1분기 수익)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