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키드를 가입했다. 가입한 이유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 계정을 공유로 가입하기 위해서였다.
파티원은 오피스365 패밀리 금액을 n분에 1한 금액을 매달 결제를 하기 때문에 금액 부담이 없기는 하지만 파티원은 링키드가 소개를 알선을 해주기 때문에 링키드에 수수료를 약 900원을 지불해야한다.
하지만 라이트로 가입해서 사용하기에 부담이 없다.
목차
링키드로 오피스 365 파티장이 된 이유
- 오피스 365는 나에게 필수(무엇보다 엑셀이 필요해서)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 기기를 바꿔도 연동되는 장점
- 파티원으로 가입해서 파티를 찾아다니느라 피곤한점
- 안정적인 파티를 구성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이유로 파티원으로 1년동안 참여했지만 1년이 다되갈 시점에서 파티가 해산이 되었다.
사람들이 오피스365를 1년만 사용하고 더이상 사용을 하지 않는것 같다. 하지만 나는 오피스365를 계속해서 사용해야 했고, 다양한 서비스를 꾸준히 이용하기 위해서 파티장이 되어보기로 했다. 파티장은 링키드에 수수료를 한달에 180원만 지불하면된다.
참고로 파티원은 한달에 9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하고, 파티장은 180원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링키드는 900원 *5명 + 180원 = 4,680원의 수수료를 받아서 이 플랫폼을 운영한다고 보면 된다.
안전하게 링크를 주고받을수 있고 파티원이 탈퇴하면 다시 새로운 파티원을 소개해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잠깐만 사용하기에는 파티원이 좋을수 있지만 꾸준히 사용하는 플랫폼이라면 파티장이 오히려 이득이라고 볼수있다.
하지만 단점이라면 초기의 비용이 조금 나간다는 단점이 있을수 있다. 링키드 소개에 따르면 3일이면 파티원이 모두 모집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 이글을 쓰고 있는 시점은 오피스365를 결제를 하고 링키드에 파티장으로 등록을 해둔 상태이다.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오전 10시에 오피스365를 1년치 결제가 아닌 1개월 결제로 먼저 해두었다. 1개월치를 가입을 해놓고 파티원이 모두 모인다면 1년치로 바꾸려고 한다.
그리고 내가 결제는 15,500원/매달 기준으로 결제가 되었는데 파티원들이 가입한다면 링키드의 적립금으로 n분에 1의 금액들이 적립이 된다고 한다.
이 적립된 금액은 계좌로 인출이 되는지 궁금하다. 일단 가입한 시점에서 느낌점을 적어두고 3~4일이 지났을때 파티원들이 얼마나 금방 모였는지 적어보려고 한다.
링키드를 이용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접속하면 1,000포인트가 적립이 된다.
오피스365 패밀리 계정에 초대해서 이용하는 요금이 3,500원정도라서 약간의 할인이 될수가 있다.
https://linkidinvite.page.link/yDjzWKbggRW7YBzn6
파티원 구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업데이트 사항이 있어서 추가로 적는다. 오전 10시에 오피스365 결제를 했다.
- 일요일 오전 10시 오피스365 패밀리 결제 및 링키드 파티장 가입
- 일요일 오후 12시(약 2시간 뒤)에 첫번째 파티원 가입
- 일요일 오후 3시(약 5시간 뒤)에 두번째 파티원 가입
- 일요일 오후 4시(약 6시간 뒤)에 세번째 파티원 가입
- 일요일 오후 5시에 네번째 파티원 가입
- 일요일 오후 5시 37분에 마지막 파티원 가입
위 구성원 가입시간은 추가될때 다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하루만에 모든 파티원이 가입하였다)
링키드 결제 금액 회수 시스템
쉽게 말해서 내가 계주가 되거나 모임에 총무가 되는 것이다.
파티원들이 결제하는 금액에서 링키드에 주는 수수료를 제외하고 나의 적립금으로 입금이 된다. 이 적립금은 나의 링키드 머니로 입금이 된다.
이 돈이 적립이 되면 내 계좌로 입금을 할수가 있다.
- 잔액은 5,000원 이상일 경우에 1원단위로 인출이 가능하다.
- 한달에 10회만 인출이 가능하다.
- 내 계좌를 등록하면 된다.
- 오피스 365를 패밀리 결제를 하고 (15,500원 결제) 파티원이 결제한 금액에서 링키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나에게 입금되는 시스템
- 내가 선결제를 하고 파티원에게 받는 방식이라서 신용카드로 먼저 계산하고 나중에 현금이 나에게 들어온다.
- 파티원이 빨리 구성되면 좋겠지만 약간의 시간이 걸리수도 있다.
- 그렇지만 파티장의 장점은 저렴한 수수료가 있다.
- 내가 어차피 패밀리 요금제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파티장이 나을것 같다.
- 파티원으로 가입해서 1년을 사용했는데 파티장이 파티를 해산하는 경우가 있다.
파티장은 오히려 이득?
파티장은 먼저 1년치를 선결제를 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그래서 결제에 부담이 있을수 있겠지만 비용적으로는 오히려 이득인것 같다.
- 먼저 1개월을 결제를 했다. 1년치를 결제했다가 사람들이 참여를 안할것 같아서였다. 그러나 일요일 오전 10시에 결제를 했는데 일요일 오후 5시 40분에 모두 초대가 완료되었다.
- 초대할려고 이사이트 저사이트 가서 홍보를 하지 않아도 되는점이 너무 편리했다. 그리고 요금을 계산해보았더니 오히려 돈을 받고 오피스365를 쓰는 느낌이다.

먼저 신용카드로 1개월을 먼저 결제했다. 그리고 사람이 초대되는것을 보고 1년을 마저 긁을려고 했다.
위 사진은 내가 1개월을 계산하고 그리고 사람들이 모두 초대가 되어서 1년으로 바로 바꾸면서 추가금을 결제한 것이다.

이 사진은 링키드 파티 정보에 들어가면 볼수있는데 매달 내가 얼마나 정산을 받을지 예상금액을 적어준다. 5명의 파티가 바로 결성이 되어서 최대금액으로 정산을 받을수 있게 되었다.
한달에 12,025원을 내가 받는다. 그리고 1년 기준으로 144,300원이 내 계좌로 들어온다. 그리고 오피스365를 결제한 금액은 129,039원이다. 1년 기준으로 15,000원 가량을 내가 돈을 받으면서 오피스 365 패밀리 요금제를 운영하는 것이다.
이렇게 돈을 돌려받을수 있는 이유는 오피스365를 1년치로 한번에 결제를 하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할인을 해준다.
링키드에서는 할인전 금액에 대해서 N/1을 하기때문에 할인전의 금액들이 결국엔 나에게 이득이 되는 것이다.
파티를 만들고 초대를 해야하는 약간의 수고가 있지만 매년 오피스365를 구독하고 이어간다면 파티장이 이득인것 같다.
링키드 구독의 장점
저렴한 요금으로 패밀리 요금을 사용할수 있다는 점이고 오피스365의 구성이 참 괜찮다. 엑셀은 꼭 필요한데 기기를 가리지 않고 사용이 가능해서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오피스를 예전에는 정품으로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기기에 귀속이 되었는데 지금은 구독형태로 되기 때문에 기기가 바뀌어도 계속 사용할수있다.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1TB의 원드라이브가 좋다. 용량이 커서 따로 구글 드라이브의 용량을 올릴 필요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링키드는 저렴한 요금으로 구독 서비스를 같이 n빵하여 부담없이 좋은 서비스를 즐길수있고 금방 파티를 구할수 있어서 편리하다.
링키드 가입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가입하면 1,000포인트를 받을수 있다.
https://linkidinvite.page.link/kGoDxDXCRDDMiXb37